본문 바로가기
청람의 생각, 생각, 생각

유공자 명단 공개, 정의와 신뢰를

by 청람지기 2025. 4. 13.



 


유공자 명단 공개, 정의와 신뢰를 위한 사회적 성찰

 

 

 

 


‘유공자’란 국가를 위해 특별한 공을 세운 사람이다. 일제강점기, 목숨을 걸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유공자들은 지금도 우리 사회의 귀감으로 기억된다. 그들의 후손은 “유공자의 집” 표지를 자랑스럽게 붙이고, 사회 또한 이들에게 깊은 존경을 표한다. 국가가 그 희생을 기억하고 합당한 예우를 다하는 것은 당연한 도리다.

1980년 5월 18일, 광주에서 또 하나의 역사적 장면이 펼쳐졌다. 군부의 강압에 저항하며 자유와 민주주의를 외쳤던 광주 시민들의 용기는 오늘날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초석이 되었다. 국가는 이들을 ‘민주유공자’로 지정하고, 유족과 자녀들에게 일정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사회 일각에서는 민주유공자 명단의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국가 예우가 정당하게 이뤄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혹시라도 특혜나 부당한 등록이 있다면 이를 바로잡기 위함이다. 반면 정부는 유족의 사생활 보호, 사회적 갈등 유발 우려 등을 이유로 명단 전체 공개에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 문제는 단순한 진영 논리로 판단할 사안이 아니다. 민주유공자 역시 독립유공자와 마찬가지로 헌신과 희생의 주체이며, 그 이름은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역사로 기록되어야 한다. 다만,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일부 정보의 공개는 필요하다.

정부는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명단 전체가 아닌 비식별화된 방식이나, 정당한 유공자 등록 절차와 검증 시스템의 투명한 공개 등 대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유족의 명예를 보호하면서도 국민의 알 권리와 형평성에 부응하는 절충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사회도 신중해야 한다. 무분별한 의혹 제기는 오히려 진정한 희생자들을 모독할 수 있으며, 민주화 정신을 왜곡할 위험이 있다. 우리는 과거의 아픔을 통해 민주주의를 배웠고, 이제는 그것을 지켜내는 성숙한 시민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정의로운 사회는 투명성 위에 세워진다. 공정한 절차와 신뢰를 바탕으로, 민주주의의 가치를 온전히 계승해 나갈 때, 우리는 역사를 기리는 동시에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ㅡ 청람